top of page

10.12.2025. 고린도전서 강해(26) 방언과 예언의 유익성. 고전14:1~14절
많은 사람들이 '더욱 큰 은사'라는 구절을 근거로 ‘영적인 은사’에 우열이 있다고 해석한다.(12:31) 하지만 이는 문맥을 무시한 해석이다. 바울이 고린도전서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강조하는 핵심은 '공동체의 유익'이다.(고전10:24,33) 따라서 '더욱 큰 은사'란 공동체에 더 큰 가치와 유익을 줄 수 있는 은사를 의미한다. 이러한 '공동체 유익'의 관점에서 바울은 방언과 예언을 명확하게 비교하고 대조한다. 방언은 ‘개인의 덕’을 세우고, 예언은 ‘공동체의 덕’을 세운다는 것이다.(4절) 그 둘 중에 예언이 방언과 비교하여 공동체에 유익을 주기에 ‘더욱 큰 은사’라는 것이다. 이 두 은사를 비교해서 설명한다. ● 방언: 방언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1) 외국어 방언(알아듣는 언어): 실제 존재하는 외국어이다. 오순절 때에 제자들이 선포한 복음을 이방인들이 알아들었다. (행2장) 2) 초자연적 언어(못 알아듣는 언
Soo Yong Lee
12 hours ago3 min read
10.5.2025. 고린도전서 강해(25) 사랑이란 고전. 12:28~13:8,13절
바울은 모든 은사는 한 성령에서 비롯되었다고 소개한다. 그리고 12장을 끝내면서 ‘너희는 더욱 큰 은사를 사모하라. 내가 또한 가장 좋은 길을 너희에게 보이리라’(31절)고 한 뒤, 이어서 ‘사랑’을 소개한다.(13:1) 이러한 문장의 전개로 인하여 많은 경우에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은사 중에 가장 큰 은사는 ‘사랑’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구절은 그런 뜻이 아니다. 왜냐하면 사랑은 은사가 아니기 때문이다. 은사는 ‘선물’이다. 그렇기에 어떤 은사이든 받은 사람과 못 받은 사람이 있다.(e.g: 방언) 그러나 사랑은 하나님이 자신의 모든 백성에게 빠짐없이 주셨다. 또한 이와 동시에 사랑은 신자라면 반드시 누구나 해야 하는 삶의 방향이요, 태도이다. 그래서 바울은 사랑을 은사라고 하지 않았다. ‘길.way’라고 소개한다.(12:31) 그럼, 바울이 말한 ‘더 큰 은사’는 무엇인가. 그것은 14장의 ‘예언’이다. 예언이 방언
Soo Yong Lee
Oct 93 min read
9.28.2025. 고린도전서 강해(24) 영적인 은사의 원리. 고전12:12~27절
기독교에는 초월적인 부분과 철학적인 부분을 담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의 핵심은 이것이 아니다.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관계에 있다. 하나님은 신자 개개인과의 관계를 통하여 본인이 우리의 인생에 깊게 관여하고 사랑하신다. 이를 우리에게 알게 하는 것, 그것이 기독교의 목표이고 내용이다. 그렇기에 하나님은 우리에게 주신 ‘영적인 은사’를 주신 이유가 내 사랑하는 백성과 자녀들의 유익을 위해서인 것이다. 이것을 주제로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영적 은사의 원리’를 상고해 본다. 첫 번째로 은사의 근거이다. ● 근거 사도 바울은 12장에 나온 9가지의 은사들을 한 근거에 묶어 놓는다. 그 근거는 ‘성령’이다. 모두 ‘같은 한 성령’에서 파생된 은사라고 한다. 고린도 교인들은 본인들이 받은 은사가 더 높은 수준의 은사라고 경쟁을 했다. 이로 인하여 교회가 분열이 되었다. 그렇기에 바울은 이 모든 것은 한 성령을 뿌리로 두고 있기에 우열도 없고, 자랑
Soo Yong Lee
Oct 23 min read
9.21.2025. 고린도전서 강해(23) 영적인 은사의 두 가지 의미. 고전12:1~11절
고린도전서 12장, 13장, 14장은 ‘은사의 장’이라고 불린다. 이 장들은 교단과 교파에 따라 상당히 많은 논란을 만들어낸 장이기도 하다. 그것은 본문 1절의 ‘신령한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어떤 목적과 시각을 가지는가에 따라서 신앙의 색깔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을 살펴본다. ● 협의적 관점 ‘신령한 것들’을 ‘초월적 은사’로 보는 것이다. 말하자면 방언, 예언, 치유 등 인간 인식의 범위를 넘어서는 초월적인 현상들을 말한다. 이런 관점으로 봤을 때에 충돌하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 1) 은사 중지론: 이런 영적인 은사가 사도 시대 혹은 초대 교회 시대에 끝났다고 보는 입장이다. 당시에 이런 은사가 필요했던 이유는, 사도들이 전하는 복음이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이라는 것의 확증과 교회의 토대를 세우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성경이 66권으로 완성이 된 이 후에는 더 이상 새로운 계시나, 기적이 필
Soo Yong Lee
Sep 253 min read
bottom of page